학생자치회
학생자치회는 학생의 인권과 민주적 학생자치를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으며, 학생회장단을 중심으로 구성된다.
설립 근거
본교 학생자치회는 학교생활규정에 따라 설립되어 활동한다. 학교는 학생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[1] 학생자치회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청취해야한다. 또한 학생자치 활동을 보장하여 "학생들이 참여와 소통의 학교문화 속 민주시민으로서 인권의 소중함을 배우고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"을 실현해야한다.[2]
구성[3]
학생자치회는 학생회장단과 각 부서의 부장과 차장으로 구성된다.
회장단은 회무를 통괄하고 학생회를 대표하며, 각 부서의 장은 회장단이 학교장에게 추천하여 학교장이 임명한다. 임기는 학생회장단과 같다고 보면 된다. 임명 학기(2학기)부터 다음해 1학기가 끝날 때까지이다.
학생자치회의 각 부서는 부장 두 명, 차장 두 명을 기본으로 조직되며, 자율순찰단과 바른생활부는 예외이다. 부장은 임명되는 학기(2학기)[4]를 기준으로 2학년에서 뽑아 임명하는 것이 보편적이고, 차장은 임명되는 학기 기준으로 1학년에서 뽑아서 임명하는 것이 보편적이다.[5] 즉, 지금이 1학기라면, 부장은 3학년이고, 차장은 2학년이며, 지금이 2학기라면 부장이 2학년, 차장은 1학년인 상태일 것이다.[6]
2023년 현재 학생자치회 부서 구성은 다음과 같다.[7] 각 부서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각각의 부서 문서들에서 다룬다.
- 학예부
- 체육부
- 홍보부
- 총무부
- 평등상담부
- 환경안전부
- ICT부
- 민주시민교육부
- 학생자치회 독립 언론 기관으로서 재편되었으며, 간섭을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활동한다.
- 자율순찰단&바른생활부
역사
2022년, 제40대 회장단이 그 전까지 내려오던 18개의 부서를 업무효율성의 이유로 통폐합하여 현재의 10부서 체제가 되었다. 이전에는 18개 부서에 부서당 부장 한 명, 차장 한 명이었으며, 통폐합 이후에는 10부서, 부장 두 명, 차장 두 명이다. 단, 자율순찰단과 바른생활부는 이전과 같이 부장 한 명, 차장 한 명의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.
통폐합된 부서는 다음의 표와 같다.
40대 이전 | 40대부터의 학생회 |
---|---|
학예부 | 학예부 |
과학부 | |
체육부 | 체육부 |
봉사부 | |
홍보부 | 홍보부 |
문예부 | |
민주시민교육부 | 민주시민교육부 |
인권위원회 | |
총무부 | 총무부 |
연합동아리 | |
성평등부 | 평등상담부 |
또래상담부 | |
환경부 | 환경안전부 |
안전부 | |
ICT부 | ICT부 |
인터넷교육부 | |
바른생활부 | 바른생활부 |
자율순찰단 | 자율순찰단 |
각주
- ↑ 학교생활규정 제 2장 1절 4조 3항의 3, 15조 3항, 15조 5항, 15조 6항의 내용이다.
- ↑ 학교생활규정 제 1장 2조, 제 2장 4절 25조 참고
- ↑ 학교생활규정 제 4장의 내용을 기반으로 한다.
- ↑ 학생자치회 부장과 차장은 학생회장단과 같이 2학기에 임명되어 학년을 넘기고 다음 학년 1학기까지 임기이기 때문에, 혼선을 빚을 수 있어서 첫 학기라고 명시했다.
- ↑ 사실, 정식으로 '임명'하는 것은 교장선생님의 권한이며, 학생회장단 또는 선생님들이 추천하여 올라간 인원이 교장선생님을 통해 임명되는 구조이다.
- ↑ 하지만 부장이 무조건 높은 학년, 차장이 무조건 낮은 학년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. 보편적인 관례에 대한 이야기이다.
- ↑ 아래의 10개 부서는 학교생활규정의 제 2장 4절 30조의 나온 것과는 다른 구성의 부서인데, 이것은 실질적인 활동을 위해 업무활동이 유사한 부서끼리 연합시켰기 때문이다. 자세한 내용은 다음 역사 문단에서 다룬다.